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대기보정은 항공기나 위성으로부터 취득한 초분광 영상의 영상분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필수적이고 중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드론 초분광 영상은 항공기나 위성에 비해 비교적 저고도에서 데이터가 취득되므로 대기에 의한 왜곡이 많지 않으며, 이에 대기보정의 과정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 초분광 영상의 대기보정 필요성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 30m, 80m, 150m, 200m, 300m로 고도를 달리하여 영상을 취득하고 고도별, 타깃별 스펙트럼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또한, 복잡한 매개변수를 요구하지 않는 quick atmospheric correction(QUAC)과 경험적 선형보정(empirical line correction)기법을 이용하여 대기보정을 수행하고, 두 방법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드론 초분광 영상의 경우 고도에 따라 스펙트럼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며, QUAC 기법보다 경험적 선형보정 기법이 대기보정의 결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Atmospheric correction is an essential and important process to improve the accuracy of image classification of hyperspectral images acquired from aircraft or satellites. However, since the drone hyperspectral image is acquired at a relatively low altitude compared to an aircraft or a satellite, there is not much distortion due to the atmosphere, and thus the process of atmospheric correction may be unnecessary.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necessity of atmospheric correction of drone hyperspectral images, images were acquired at different altitudes of 30m, 80m, 150m, 200m, and 300m, respectively, and the changes in spectrum for each altitude and target were compared. In addition, atmospheric correction was performed using quick atmospheric correction(QUAC) and Empirical Line Correction Method, which do not require complex parameters, and the results of both methods were analyzed.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drone hyperspectral image, the change in spectrum was not large according to the altitude, and the empirical line correction method showed better results of atmospheric correction than the QUAC method.

목차

要旨
Abstract
1. 서론
2. 연구의 방법
3. 데이터 취득 및 분석
4.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